S i c i l i a
시 칠 리 아
지구 반대편에서 태어나 처음으로 이 땅을 밟았던 그는 이제껏 단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평온함을 맛보게 된다. 화려한 도시 속에서 늘 쫓기듯 살아왔던 자신이 ‘전혀’ 다른 세계로 들어왔음을 직감하게 되는 느낌. 그런 느낌은 영화 <대부>의 꼴레오네만의 것은 아니었다. 아프리카로부터 시작된 시로코라는 이름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 거리엔 눈에 익은 가로수 대신 올리브와 아몬드 나무가 이곳이 지중해의 중심임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완벽한 떠남과 완전한 머묾을 찾아, 나도 그렇게
유럽과 아프리카를 모두 품고 있는 지중해의 가장 큰 섬인 시칠리아. 각기 다른 대륙을 향해 뻗어있는 삼각형 모양의 이 섬을 여행하는 동안 마주했던 다양한 얼굴들이 빠르게 스쳐 지나간다. 그들은 무어인이었고 동시에 로마인이었으며 또한 지금도 시칠리아를 지키고 있는 이곳의 서민들이기도 했다. 지리적인 위치 탓에 항상 주변국들의 공격과 정복에 촉각을 세워야 했고, 두 번이나 도시를 사라지게 만든 에트나 화산도 시련의 깊이를 더했다. 시칠리아에서 삶의 터전을 일군다는 것은 굴곡진 역사를 써왔다는 것과 같은 말이었다. 그러나 그들이 왜 그토록 어렵게 시칠리아를 지켜내야만 했는지를 깨닫는 것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시칠리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보는 동안 오직 하나의 문장만이 선명하게 떠올랐다. 그것은 이곳에 조금 더 머물고 싶다. 그저 욕심껏 머물고 싶다는 것이었다.
P a l e r m o
팔 레 르 모
시칠리아의 주도 팔레르모. 로마제국과 비잔틴, 아랍, 노르만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인 문화가 융합되어 있다. 시내 곳곳의 건축물과 골목길에서 만나는 이색적인 풍경은 팔레르모만의 매력. 시칠리아
여행의 출발점으로 이 섬을 방문하는 모든 이들이 거쳐가는 곳이기도 하다.
Palazzo dei Normani O Reale
요새에서 궁전으로, 노르만 궁전
낯선 여행지에서 맞이하는 첫 아침에는 누구나 아이와 같은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인지 처음 맞이하는 아침 풍경이 나중에 그곳을 회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그림이 되기도 한다. 마침 주말을 맞이하는 시칠리아 팔레르모의 아침은 더 없이 여유롭고 느긋하다. 호텔을 나서자마자 벼룩시장을 여는 분주한 모습들이 눈에 들어왔다. 골목을 빼곡하게 채운 각양 각색의 물건들에는 저마다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듯하다. 팔레르모를 대표하는 중요한 관광지 중 하나인 노르만 궁전에 도착했다. 이 궁전은 외관부터 무척이나 독특한데 이 도시의 모든 건물들이 그러하듯 한 시기에 완성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다른 민족과 다양한 양식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궁전에서 가장 주목받는 공간은 1140년에 만든 팔라티나Palatina 소성당. 내부는 바실리카 양식으로 나뉘어져 있는 반면 벽면은 비잔틴 양식의 화려한 모자이크로 꾸며져 있는 색다른 모습이다. 무엇보다 황금색으로 장식된 벽면은 화려함의 극치를 자랑하고 있다. 9세기 아랍인들이 요새로 만들어 사용하던 것을 노르만인들의 점령 후에야 궁전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다양한 양식의 혼재, 점령자들에 의한 용도 변경. 그리고 수많은 확장과 개축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던 것. 첫 방문지인 노르만 궁전의 굴곡진 역사가 곧 시칠리아의 과거를 말해주고 있다.
Palermo Cathedral
팔레르모 대성당
괴테는 오랜 시간 동안 이탈리아를 여행하다가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 이르러서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라는 수식어를 꺼냈다. 젤라또를 맛보며 산책하듯 거리를 걷다가 팔레르모 대성당 앞 광장에 멈춰 섰을 때 괴테가 했던 말이 자연스레 떠올랐다. 노르만 궁전과 마찬가지로 대성당도 여러 가지 양식으로 완성된 모습이다. 그런 이유이기 때문일까? 무려 200년에 걸쳐 대리석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대성당의 벽과 아치는 시칠리아의 수호 성년인 로사리아를 모시기에 충분히 아름다웠다. 17세기, 시칠리아도 페스트의 악몽을 피해갈 수 없었던 모양이다. 수많은 이들이 죽어가는 가운데 사람들은 로사리아 성녀의 이름을 외쳐 불렀고, 그 후 기적적으로 페스트는 팔레르모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13세기부터 팔레르모의 성녀로 추앙받던 로사리아는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성당 안에는 성녀인 로사리아를 모시는 은으로 만든 성체함이 있다. 부유한 귀족의 신분을 버리고 동굴에서 은둔의 삶을 살았던 로사리아. 삶과 죽음을 가르는 절박한 상황에 시칠리아 사람들이 소리 높여 외쳤던 것은 그녀의 이름이자 곧 신의 손길이었다. 신은 그들에게 응답했고, 그들은 오늘도 감사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Ballaro Street Market
지중해의 만찬, 발라로 마켓
궁전과 성당을 돌아보고 나니 발걸음은 자연스레 마켓으로 흘러들었다. 어느 도시에나 전통시장 구경은 재미있지만 벼룩시장과 재래시장이 이어진 마켓이라면 더욱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 같았다. 시칠리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 마켓은 관광객보다는 주로 현지인들이 식료품을 사기 위해 찾는 곳이다. 시장에 들어서자마자 수제 엔초비 통조림이 눈을 사로잡는다.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주인이 직접 만들어 유리병에 담아 판매하고 있는 엔초비. 그 앞에 맛과 품질에 대한 자부심으로 넉넉한 미소를 띠고 있는 주인 노부부의 얼굴에서 바다의 풍요를 삶으로 누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고기들과 갓 잡아 올린 참치들, 화려한 색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제철 과일과 채소들이 수많은 향신료들과 함께 내뿜는 향기가 아찔하다. 토요일 오전, 시장의 모든 것은 햇것으로 싱싱하게 빛난다. 그렇기에 더욱 건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발라로 마켓에서 진짜 시칠리아 사람들을 만났다.
Monreale
세계적인 성당을 품은 작은 마을, 몬레알레
내일이면 팔레르모를 떠나야하는 여행자에게 10km 미만의 근교에 훌륭한 또 하나의 관광지가 있다는 것은 행운과도 같다. 300m가 넘는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마을 몬레알레는 왕족들이 무더위를 피해 휴양을 즐기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 관광객들이 이 작은 마을을 찾는 이유는 산타마리아 라 누오바 대성당의 황금색 모자이크를 보기 위해서이다. 화려함과 웅장함으로 가득한 성당의 내부는 수많 은 관광객들의 발걸음을 이 작은 마을로 향하게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다. 골목마다 무심한 듯 세심하게 꾸며놓은 테라스들이 햇살 아래 빛나고 있다. 노란색 벽들과 어우러진 담쟁이 넝쿨과 화분, 잘 마른 빨래와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유명 관광지임에도 시칠리안들의 일상을 소중히 지켜나가는 모습이다. 세계적인 관광지가 되었지만 그들은 그 속에서 아름다운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바로 이 작은 마을의 진짜 매력이다.
A g r i g e n t o
아 그 리 젠 토
기원전 6세기에 그리스인들에 의해 건설된 이 도시는 시칠리아에서 두 번째로 번창했던 도시이다. 콘코르디아 신전, 헤라 신전, 제우스 신전 등 수많은 신전들이 집중되어 있는 신전들의 계곡으로 더욱 유명하다. 그리스 유적과 유물들이 많이 남아있어 도시 전체가 하나의 박물관과도 같은 곳. 시칠리아를 찾는 모든 이들이 반드시 방문하는 도시이다.
Valley of the Temples
지상에 머물 수 없다면, 신전들의 계곡
한국을 떠나 로마로, 다시 로마에서 팔레르모를 거쳐 아그리젠토에 오기까지 시칠리아를 대변하는 단 하나의 이미지가 있었다. 시칠리아 여행과 관련된 책을 찾아보면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사진이 바로 아그리젠토의 신전들의 계곡이다. 여행을 시작하기 전에 사진으로 이미 수없이 봐왔던 곳이라 오히려 식상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완벽에 가까울 만큼 보존 상태가 뛰어난 콘코르디아 신전 앞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로마와 터키에서 만났던 신전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만큼 현실적이다. 금방이라도 제단에 불을 피울 것만 같은 느낌은 신전 앞의 이카루스 동상과 함께 선명하게 남았다. 제우스, 헤라클레스, 헤라 등의 이름을 갖고 있는 신전들도 올리브 나무와 선인장들과 어우러져 거칠면서도 아련한 풍경을 연출했다. 마침, 고대 도시만이 가질 수 있는 영광과 위용이 느껴지는 신전들의 계곡에서 시칠리아의 소나기를 맞았다. 습관처럼 비를 피해 나무 아래에 서 있다가 비를 맞고 걸어가는 시칠리아 사람을 보았다. 이곳 사람들에게 비는 피할 것이 아니라, 취하는 것이었다. 하늘이 주신 축복이라며 즐겁게 단비를 맞는 사람들이 사는 곳. 시칠리아에 내리는 비는 곧 강이 되고 또 그 강물은 바다로 나아가 지중해가 될 것이었다. 그것으로 충분히 피하지 않을 가치가 있었다.
“시칠리아에 내리는 비는 곧 강이 되고 또 그 강물은 바다로 나아가 지중해가 될 것이었다. 그것으로 충분히 피하지 않을 가치가 있었다.”
Siracusa
시라쿠사
시라쿠사 또한 그리스와 로마 유적지가 많기로 유명한 도시. 또 하나의 매력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광장 중 하나로 꼽히는 두오모 광장이 있다는 것이다. 영화 <말레나>의 배경이 되기도 했던 곳으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모두 놓치지 않고 돌아보기를 추천한다.
Orecchio di Dionisio
천국의 채석장, 디오니시오의 귀
아그리젠토를 지나 시라쿠사로 이동하자 지도는 어느새 시칠리아의 남동쪽으로 기울어졌다. 시라쿠사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 건설된 도시이다. 부력의 원리를 깨닫고 목욕탕에서 알몸으로 뛰쳐나와 유레카를 외치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알아도 그곳이 어디였는지는 몰랐다면 시라쿠사를 다시 한 번 자세히 들여다볼 때다. 그 중에서 그리스 극장과 천국의 채석장이라 불리는 곳에 많은 관광객들이 집중되는데 기원전 4세기, 폭군 디오니시오와 함께 강력한 도시국가로 성장했던 흔적들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스 극장 뒤편 도시의 건축물들을 올리기 위해 사용했던 채석장. 그 곳에서 거대한 S자 모양의 동굴 입구를 만날 수 있다. 23m 높이의 동굴입구는 ‘디오니시오의 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작은 소리도 동굴에서 크게 울리기 때문에 기묘한 풍경과 함께 신비한 경험을 할 수도 있다. 한때 이곳을 7천 명의 전쟁 포로를 가둬놓는 감옥으로 사용하며 죄수들의 작은 소리도 모두 듣겠다고 말했던 디오니시오. 전쟁도, 포로도, 고대 도시도 사라진 오늘날, 폭군의 귀를 닮은 거대한 동굴은 이제 시라쿠사의 유명 관광지로 남았다.
Duomo
광장은 항상 옳다, 두오모
거대하고 웅장한 것들을 보고 나면 소소한 것들이 보고 싶어진다. 평범한 것, 사소한 것들은 여행자를 그곳에 머무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오모 광장으로 향했다. 고대 극장과 채석장이 과거 시라쿠사의 얼굴이라면 두오모 광장은 오늘의 시라쿠사다. 광장으로 들어서자마자 귀여운 곱슬머리의 아이가 사람들 사이를 오가며 세 발 자전거를 타고 있는 모습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술래잡기를 하는 아이들 사이로 즐거워하는 어른들의 표정 또한 꾸밈없이 맑다. 광장 주변이 온통 테라스 카페와 레스토랑으로 꾸며져 있기 때문에 성당 계단에 앉으면 카페들이 보였고 카페에 앉으면 성당이 보였다. 어느 곳에 앉아도 그림 같은 풍경이 다가왔다.이렇게 나른하고 기분 좋은 광장 중심에는 두오모 성당이 있다. 아테네 신전 자리에 만들어진 두오모 성당은 성모 마리아 탄생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하루의 끝을 비추는 늦은 햇살이 성당의 코린트식 기둥을 조명처럼 비춰내는 시간. 먹고 사랑하고 감사하는 사람들이 바로 그곳에 있었다. 이런 곳에서의 시간은 어김없이 달콤하게 흘러갔다. 그래서 광장은 항상 옳다.
C a t a n i a
카 타 니 아
에트나 산과 인접해 있는 항구 도시 카타니아. 에트나와 인접해 있어 화산피해로 인해 도시가 파괴되는 일을 자주 겪어왔다. 끝없는 의지로 자연과 맞서온 사람들이 파괴된 도시를 복원해오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에트나 산과 시청 주변은 언제나 많은 관광객들로 붐빈다.
Taormina
타오르미나
파란 바다 위, 돌고래와 한 남자의 아름다운 모습. 어린 시절 자주 보았던 영화 <그랑블루>의 포스터에는 상상보다 더 파랗고 깊은 지중해가 가득 담겨 있었다. 그렇기에 영화 그랑블루의 배경이 되었던 타오르미나를 만난다는 것은 가장 완벽한 지중해 마을을 만나는 것과 같았다. 200m 높이의 절벽 위에 자리하고 있는 이 도시는 고풍스러운 건물들이 좁은 골목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가장 중심이 되는 움베르토 1세 길을 따라 걸으며 만나는 수많은 상점들과 카페, 레스토랑들은 이 도시를 사랑하는 수많은 유럽인들로 북적인다. 특히 타오르 미나에서만 볼 수 있는 핸드메이드 제품들은 시칠리아 특유의 감성까지 더해져 눈길을 사로 잡는다. 잘 꾸며진 관광도시는 자주 만날 수 있지만 여유로움과 낭만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도시는 그리 흔치 않다. 장인의 손을 거친 명품들이었지만 사치스럽지 않았고, 도시 전체가 북적이고 있었지만 소란스럽지는 않았다. 누군가 예쁘고 완벽한 마을을 만들어 절벽 위에 살포시 올려놓은 듯한 느낌. 지중해와 어우러진 이 모든 완벽한 풍경은 누구나 타오르미나를 사랑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Mount Etna
꺼지지 않는 생명력, 에트나
에트나 화산을 처음 알게 된 건 여행정보나 사진이 아닌 어린 시절에 읽었던 그리스 신화였다. 카타니아로 이동하면서 제우스와의 싸움에서 패한 티폰이 화를 뿜을 때마다 엄청난 규모로 흘러내리던 뜨거운 용암을 떠올렸다. 지금까지 90번도 넘게 폭발한 에트나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곳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 화산의 피해로 도시를 재건해야 하는 일을 여러 차례 겪으면서도 그들은 끝내 이 섬을 떠나지 않았다. 아랍인과 무어인, 유태인과 기독교인은 물론 이슬람교도까지 모두 평화롭게 공존하며 삶을 일궈낸 시기도 있었던 이 땅에서 거친 자연 또한 그들이 끌어안아야 할 요소 중 하나였던 것일까. 지금도 곳곳에서 연기를 내뿜고 있는 에트나에 올라 잠시나마 구름 위의 산책을 즐겨본다. 발 아래 여전히 불의 기운으로 꿈틀거리고 있는 에트나가있고 주변은 온통 짙은 검은 색의 흙과 돌 뿐이다. 산 아래는 무척이나 더운 날이었지만 에트나에서는 매서운 바람과 추위가 순식간에 몰아쳐 엄청난 기온 차이를 만들어 낸다. 산 아래 마을은 에트나 화산의 폭발로 잃어버린 모든 것들을 간직한 채 새롭게 성장해 왔다. 에트나가 가진 뜨거운 생명력이 거대한 자연 앞에서도 굴하지 않는 시칠리안들의 힘이기도 했다.
Teatro Greco
무대는 지중해, 테아트로 그레코
시칠리아 여행의 마지막 도시가 타오르미나가 아니라면 어땠을까. 나는 이 도시를 마지막에 만날 수 있었음에 안도했다. 시칠리아 전역의 큰 도시들에는 대부분 고대 원형극장이 남겨져 있다. 더군다나 무대 뒤에는 비현실적 일만큼 아름다운 지중해가 극장을 감싸듯 흐르고 있다. 뜨거운 한 낮을 피해 횃불을 밝히고 연극을 감상하던 사람들이 극장을 가득 채웠을 것이다. 바다가 보이는 테아트로 그레코 원형 극장은 다른 도시의 극장들과는 달리 웅장했지만 애잔하고 벅찬 감동을 전해주었다. 비탈진 돌산은 관람석이 되었고 해안 절벽은 무대가 되었다. 저 멀리 지중해 끝자락에 보이는 에트나 산은 신기루처럼 몽환적이다. 그곳에 흩뿌려진 보석처럼 자리한 아기자기한 마을들이 자연의 일부처럼 스며들어 있다. 군데군데 무너져 내린 석회암 계단에 앉아 바라보는 이 모든 풍경. 그것은 분명 아무것도 그립지 않을 만큼 완벽했다.
Wine
궁금한 시칠리아의 와인들
지난해 매혹적인 색으로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던 마르살라Marsala 컬러는 시칠리아의 가장 유명한 와인 이름이기도 하다. 17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마르살라 와인의 명성은 시칠리아 서부 지역의 포도밭에서 얻어낸 결과물이다. 화이트 와인에 와인 주정을 탄 후 끓인 포도액을 부어 만들기 때문에 특유의 누런 갈색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포도원액이 들어가 무척 달콤한 와인이지만 당분은 숙성과정에서 조금씩 낮아지게 된다. 시칠리아의 각 지역마다 와인이 생산되고 있으며 대부분 현지에서 맛볼 수 있다. 하지만 까마귀를 뜻하는 코르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코르보 디 살라파루타Corvo di Salaparuta는 시칠리아 전역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마시는 와인으로 꼽힌다. 평소 와인에 관심이 많다면 머무는 지역에 와이너리를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다. 착즙부터 숙성과정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직접 구입할 수 있어 더욱 좋다.